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초의 아이스크림과 근대 디저트 카페의 유혹

by 배움로드 2025. 8. 2.
반응형

아이스크림, 조선에 처음 등장하다

조선 최초의 아이스크림과 근대 디저트 카페의 유혹 - 일본·서양 디저트가 조선에 온 이야기

🍨 아이스크림, 조선에 처음 등장하다

여름이면 누구나 즐겨먹는 아이스크림,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조선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신문물’이었습니다.
❓‘조선 최초의 아이스크림’은 언제, 어떻게 들어왔을까요?

1. 조선에 온 첫 아이스크림

1920년대 일제강점기, 경성(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아이스크림이 처음 등장합니다.

  • 1922년 5월, 경성 종로 ‘모던 아이스크림’이라는 일본인 운영 카페가 신문에 소개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 당시 신문에는 “서양식 아이스크림, 처음 맛본 경성 소년 소녀들”이라는 기사가 실렸죠.
  • 처음엔 일본인 상점, 서양인 조계 지역에서 판매되다가 점차 조선인에게도 인기를 얻었습니다.

 2. 아이스크림의 인기와 변화

  • 1930년대 들어서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막대 아이스크림’, ‘아이스케키’(아이스캔디)가 유행합니다.
  • 카페와 다방, 백화점에서도 여름 한정으로 아이스크림, 아이스커피, 빙수 등을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  달콤함의 신세계: 일본·서양 디저트의 유입

 1. 일본식 디저트의 유행

  • 일본에서 유행한 ‘앙코(팥소) 빵’, ‘카스테라’, ‘모나카’(아이스크림을 웨이퍼로 감싼 것), ‘단팥죽’ 등이 일제강점기 경성에 들어왔습니다.
  • 1920~30년대 신문과 광고에 “모나카 아이스크림, 신식 단팥빵, 카스테라 케이크” 등이 인기라는 내용이 자주 등장합니다.
  • 당시 카페에서는 일본식 푸딩, 젤리, 단팥 디저트도 선보였습니다.

 2.  서양 디저트와 카페 문화의 시작

  • 프랑스, 미국식 케이크, 비스킷, 초콜릿도 서양인과 일본인을 통해 조선에 소개되었습니다.
  • 1930년대 경성, 부산 등지에서는 ‘커피와 케이크’, ‘아이스크림’ 등을 제공하는 서양식 카페(카페, 다방)가 생겨났고, 젊은이들과 예술가들이 모이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 빵집(베이커리)에서는 바게트, 크림빵 등 다양한 신식 빵이 인기였습니다.

🍞  근대 디저트 카페의 유혹과 시민의 일상

 1. 디저트 카페, 신여성·청년의 공간

  • 카페는 단순한 먹거리 이상의 공간이었습니다.
    모던걸·모던보이로 불린 신여성, 신청년들이 모여 토론하고, 음악을 듣는 장소로 사랑받았습니다.
  • 당시 신문에서는 “다방에서 맛보는 아이스커피와 케이크, 신문물의 상징”이라는 기사도 볼 수 있습니다.
  • 달콤한 아이스크림, 단팥빵, 케이크는 근대 조선의 ‘로망’이자, 신분 상승의 상징이기도 했죠.

 2. 디저트 문화의 변화와 대중화

  • 1940년대 후반, 해방과 함께 서양식 빵과 디저트 문화는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아이스크림 공장이 들어서면서 ‘쭈쭈바’, ‘빠삐코’ 등 대중적 아이스크림이 탄생하게 됩니다.
  • 오늘날 카페 문화의 뿌리는 바로 이 시기, 일본·서양 디저트와 근대 카페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 결론: 단맛에 빠진 조선, 오늘의 디저트 문화로

조선 최초의 아이스크림에서 시작된 달콤한 유혹은, 일본·서양 디저트와 근대 카페 문화를 통해 현대 한국 디저트의 풍요로 이어졌습니다.
이국적이었던 아이스크림, 카스테라, 케이크, 그리고 커피와의 만남은 시민의 일상에 신선한 변화를 가져왔죠.
오늘날 다양한 디저트 카페, 빵집에서 맛보는 달콤함의 뿌리를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


FAQ

Q1. 조선 최초의 아이스크림은 어디에서 먹을 수 있었나요?
A1. 1920년대 경성 종로, 일본인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Q2. 일제강점기 인기 있던 일본식 디저트는?
A2. 앙코빵, 카스테라, 모나카(아이스크림), 단팥죽 등이 대표적입니다.

Q3. 서양식 디저트는 어떻게 들어왔나요?
A3. 외국인 조계지, 일본인을 통해 케이크, 비스킷, 초콜릿, 커피 등이 소개되었습니다.

Q4. 근대 카페와 오늘날 카페의 차이는?
A4. 과거 카페는 신여성·지식인·예술가의 공간이었고, 오늘날은 대중적 문화공간입니다.

Q5. 아이스크림의 대중화는 언제 시작됐나요?
A5. 1930년대 공장형 아이스크림, 해방 후 대중적 아이스크림의 등장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반응형